플텍 트친분께서 Robert Ghrist의 책 “Elementary Applied Topology“에 아래와 같은 그림들이 등장한다고 알려주셨다.


웹사이트에 올라온 디지털 버젼에는 이 그림들이 나타나있지 않다. 디지털 버젼을 톺아보면 전반적으로 그림들에 대한 부연 설명을 주지 않고 자신만의 스타일로 함축적으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는 듯하다. 모든 그림은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로 작업했다고. (!)
두 번째 그림의 경우, 일단 흰 마디와 검은 마디에서 흰 마디를 띄어쓰기로 보았을 때 영어 문장이 아닐까 싶었다. (다만 2~3글자 전치사/관사/정관사가 별로 없고 단어들이 길어서 좀 긴가민가하긴 했는데 위 글에서 신화적 표현을 썼으리란 암시가 있어서 일단 가능성을 열어둠) 그래서 먼저 치환 암호일 것으로 상정하기로. 하던대로 일단 THE에 해당할만한 것을 찾고 E에 해당하는 것이 적절히 많이 등장하는지를 체크했는데 그에 해당하는게 하나 보였다. (아래 그림에서 밑줄친 부분) 이를 토대로 일단 T H E를 찾고, 두 번째 줄에 T_ THE가 있으니 O로 추정하고, 다섯 번째줄에 TO_O_O__가 있으니 TOPOLOGY로 추정하는 식으로 진행했다. 그 과정에서 각 알파벳에 해당하는 그림들이 단순히 임의로 주어진 심볼이 아니라, 그 알파벳을 구성하는 획들의 관계를 표현하는 것임도 어렴풋이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각 획이 하나의 원으로 표현되는 식. 다만 아직도 universal + explicit하게 설명할 수 있는 규칙은 잘 모르겠다. inversion한 그림하고도 비슷한데 정확하게 들어맞지는 않음.
아무튼 그렇게 해독한 결과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그림의 경우 아직도 뭔지 모르겠다. 참고로 위쪽에 나와있는 index는 1에서 10까지를 표현한 듯함. 트친 분께서 아래와 같은 파스칼 삼각형 그림을 올려주셔서 확인. (아마 로마 숫자를 변형한 듯?)

몇 가지 생각한 것들.
- 연산 테이블 같기도 한데 그렇다고 하기엔 10개의 모든 행들이 다 10개의 그림들의 permutation 꼴이 나오는지라 생각할만한 것들은 잘 들이맞지 않음
- 9열에서 딱 두 개만 불규칙하게 나오거나 10열에서 9개가 일치하게 나오는 것에서 시작하고 싶은데 딱히 뭐가 떠오르지 않음
- 왼쪽 인덱스를 0, 1/7, 2/7, 1/3, 3/7, 4/7, 2/3, 5/7, 6/7, 1을 크기 순으로 나열한 것으로 볼 수 있을 법도 하지만 정삼각형들은 억지로 끼워맞춘 감이 없지 않음
- 왼쪽 인덱스가
라면 Lissajous curve table와 연관이 있을 가능성도 있을 법한데 그러면 왜 테이블 내부가 각도 꼴로 나오는지를 설명하기 힘듦
답을 알아내신 분은 꼭 알려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