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패스트푸드 체인점 순위 변화

데이터다람쥐란 채널에서 최근 이것저것 랭킹을 시계열에 따른 동적 인포그래픽으로 보여주는 영상들을 올리고 있다. 이 채널에서 오늘 올라온 영상. 1979년부터 2019년까지 40년간 국내 패스트푸드 체인점 매장 수 변화를 다뤘다. 연말을 기준으로 했다고. 1980년대에 성장세를 유지하다가 갑자기 나가떨어진 버거잭이란 곳이 있길래 찾아보니 매일경제 기사가 있는데 88 올림픽 공식공급업체로도 선정됐는데 무리하게 사업을 확장하다가 89년 11월 부도났다는 듯. 이 […]

Read More 국내 패스트푸드 체인점 순위 변화

백지 논문

1974년 저널에 리비젼 없이 바로 실린 Dennis Upper의 논문 “‘글을 쓰지 못하는 슬럼프(writer’s block)’의 증상에 대한 자기 치료의 실패”.[1] 아래에 덧붙여진 리뷰어 코멘트까지 깨알같다. “레몬즙을 뿌리거나 X레이를 쬐어보는 등 매우 세심하게 이 논문을 조사해보았지만 디자인이나 작풍 등에서 어떤 결점도 발견할 수 없었다. (후략)” 트윗 타래를 정리. (2019/03/01) [1] D. Upper, “The unsuccessful self-treatment of a […]

Read More 백지 논문

수학여행의 밤

펜슬퍼즐들을 매일 3개씩 올리는 “니코리계 퍼즐의 역습” 블로그에 새 게임 “수학여행의 밤”이 추가되었다. 니코리 계간지에 119호(2007년)까지 수록되었다고. 룰을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점선 위에 선을 그어, 보드에 1*2(2*1도 포함) 모양의 블록(잠자리)들을 배치한다. 또한, 모든 잠자리마다 두 칸 중 한 칸에는 사각형(베개)를 둔다. 세로로 잠자리를 두는 경우, 위쪽 칸에 베개를 두면 안 된다. (북향이라서……) 원(기둥)이 있는 칸에는 […]

Read More 수학여행의 밤

물리적 치트키

메가드라이브 소닉 3D 블래스트는 레벨을 선택할 수 있는 모드로 들어가는 치트가 있었다. 그런데 이 모드로 들어가려면 커맨드를 입력하거나 하는게 아니고 플레이 도중 팩을 직접 툭툭 치는 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해야 했다고 한다. 위 영상에서 당시 개발자였던 Jon Burton이 이것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실은 노리고 넣은 이스터에그는 아니었다고. 세가의 게임 버그 체크 과정은 몇 주가 걸리고 버그 […]

Read More 물리적 치트키

시에르핀스키 삼각형 위의 두 점의 평균 거리

짧은 수학 트리비아. 한 변의 길이가 1인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에서 두 점을 균일하게 선택했을 때 두 점 사이를 연결하는 시에르핀스키 삼각형 위의 경로를 잡아 그 거리를 생각할 수 있다. 그 거리의 평균은 466/885이라고.[1] 이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은 하노이의 탑과 연관이 있다는게 잘 알려져 있는데, 개의 링을 이용한 configuration들로 이루어진 그래프는 번째 시에르핀스키 중간 도형 모양으로 나온다. 즉 […]

Read More 시에르핀스키 삼각형 위의 두 점의 평균 거리

게임보이 어드밴스 비디오

북미에서는 2000년대 중반 게임보이 어드밴스로 애니를 판매한 적이 있었다고 한다. 위키피디아를 보면 현재까지 총 36 카트릿지가 나왔다고 하는데 영상에는 슈렉1+2가 빠진 듯? 비슷하게 게임보이 어드밴스 비디오 카트릿지를 수집했다는 사람의 인증글에서는 36개가 나와있는데 저 영상에 있는 닉툰즈 Vol. 3이 없기도 함. 이 글에서도 명확한 컴플리트 리스트라고 할만한 것을 찾기는 어려우며 공식 GBA 비디오 웹사이트에 명시된 리스트에서도 […]

Read More 게임보이 어드밴스 비디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