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형이 없는 픽의 정리

저번 포스팅인 12가 왜 거기서 나와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정리로 픽의 정리(Pick’s theorem)가 등장했다. Restate하자면, 모든 꼭지점이 격자점인 격자다각형 에 대해 그 경계선에 있는 격자점의 갯수(꼭지점도 포함)를 , 내부에 있는 격자점의 갯수를 라 하면 의 넓이는 이 된다는 정리이다. 보통 이 정리의 증명으로, 격자다각형 내부의 격자점들을 이용해 triangulate, 즉 격자삼각형들로 분할하고 그 갯수가 일정하게 나온다는 사실을 이용해서 증명하고는 한다. 여기서는 […]

Read More 삼각형이 없는 픽의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