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블럭 어워드

오리지널 나노블럭에서 주최한 나노블럭 어워드 2017 수상작품들. 개수에 제한 없는 노 리밋 부분 수상작들. 200 피스 이하 부문. 피스 수의 제한 때문에 주로 귀여움에 포인트를 두거나 아이디어를 무기로 삼는다. 지금 다시 확인해보니 2018년 수상작도 역시 영상으로 엮여져 업로드되었다. 트윗 타래를 정리. (2017/12/04)

Read More 나노블럭 어워드

와퍼 먹는 앤디 워홀

이번 슈퍼볼 버거킹 광고였던 EatLikeAndy. 앤디워홀이 버거킹 와퍼 포장을 뜯고 먹을 뿐인 영상이다. 해당 장면은 Jørgen Leth의 1982년 필름 “66 Scenes From America”에 등장하는 장면이라고 한다. 당시 버거킹 버거와 브랜드를 명시하지 않은 버거 둘을 준비했는데 앤디 워홀은 “맥도날드는 어딨지?” 하고 물었다고 함. 맥도날드 포장 디자인이 더 마음에 들었다고. 다만 맥도날드에 집착하거나 브랜드에 크게 연연하진 않았고 […]

Read More 와퍼 먹는 앤디 워홀

잘못된 UI 디자인 찾기 게임

UI 디자인에서 잘못된 요소를 찾는 게임 Can’t Unsee. 두 디자인을 비교해서 정답에 해당하는 쪽을 선택해야 한다. 갈수록 눈 아프고 어려워지는데 하드로 가면 차이점이 어딘지 알아도 뭐가 맞는건지 헷갈릴 때도 생긴다… 눈 뜨고 코 베인 듯이 틀린 문제들도 있어서 묘하게 승부욕은 불타지만 다시 하기엔 눈이 아픈 그런 느낌… 트윗을 정리. (2019/02/06)

Read More 잘못된 UI 디자인 찾기 게임

랜덤 워드에서 특정 워드가 등장할 확률 (3)

이전 글: (1), (2) 이전 글에서는 알파벳 집합이 , 그 사이즈가 로 정해져있을 때 특정 워드 가 들어가지 않는 길이 의 워드 개수는 의 해들로 표현될 수 있음을 보였다. (은 의 길이, 는 의 순환주기) 이 특성방정식을 에 대해 미분한 식과 이 식이 공통근을 갖지 않으므로 중근이 없어, 더 정확히 말하자면 이 해들의 거듭제곱의 선형합이라 […]

Read More 랜덤 워드에서 특정 워드가 등장할 확률 (3)

조합적으로 증명하는 삼각함수식

탄젠트와 시컨트의 정의만 알면 바로 증명되는 항등식인데 이것을 조합적으로 보일 수 있다. 그를 위해선 몇 가지 해석적인 작업이 조금 필요함. 일전에 “의 조합적 증명“에서 소개했던 교대순열이란게 있다. 교대순열은 를 만족시키는 순열. 부등호가 < > < > … 으로 정의되는 경우도 있으며 위 글 역시 그러한데, 여기서는 > < > < …으로 정의하고, < > < > […]

Read More 조합적으로 증명하는 삼각함수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