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폴로지 책에 등장한 암호

플텍 트친분께서 Robert Ghrist의 책 “Elementary Applied Topology“에 아래와 같은 그림들이 등장한다고 알려주셨다. 웹사이트에 올라온 디지털 버젼에는 이 그림들이 나타나있지 않다. 디지털 버젼을 톺아보면 전반적으로 그림들에 대한 부연 설명을 주지 않고 자신만의 스타일로 함축적으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는 듯하다. 모든 그림은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로 작업했다고. (!) 두 번째 그림의 경우, 일단 흰 마디와 검은 마디에서 흰 마디를 […]

Read More 토폴로지 책에 등장한 암호

비속어를 !%^#!@%&로 표현하다

비속어를 !%^#!@%& 같이 표현하는 것의 역사에 대한 Vox의 영상. 주로 만화(신문 연재 코믹 스트립)에서 등장했던 이런 연출을 모트 워커가 grawlixes라고 이름 붙이기도 했다. 그는 1980년 자신의 저서 Lexicon of Comicana에서 여러 만화적 연출 기법을 정리해 용어들을 만들었는데 이 grawlix도 그 중 하나였다. 그 외에도 당황해하거나 일을 하는 등의 상황에서 날라가는 땀방울을 plewd, 누군가 급하게 사라질 […]

Read More 비속어를 !%^#!@%&로 표현하다

오버킬

StackExchange에서 간단한 명제를 쓸데없이 복잡하게 증명하는 것에 대한 스레드가 있다. 예컨대 가 무리수임을 보이기 위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이용한다든지… 그 외에도 공부하다보면 간혹 새로 배우는 개념을 통해 이전의 결과가 약간 nontrivial하더라도 유도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 경우들을 연상시키는 예들도 언급된다. 테런스 타오도 메져 띠오리 수업에 등장했던 한 가지 예시를 올렸다. 만약 조화급수 이 수렴한다면 (구간 에서는 […]

Read More 오버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