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돌 모델과 원주율

수학적 개념이나 문제를 시각화해서 재미있게 표현하는 최애 채널 중 하나인 3Blue1Brown의 이번 영상. 위 그림처럼 완전 탄성 충돌과 마찰력이 없는 조건에서 1kg의 물체 A와 kg의 물체 B를 벽면, A, B의 순서가 되도록 나란히 놓은 뒤 선상에서 B를 움직여 A와 충돌시키고나면, 더 이상 충돌이 일어나지 않을 때까지의 충돌 횟수가 원주율의 첫 n+1 자리수가 된다는 것. (엄밀히는 […]

Read More 충돌 모델과 원주율

연속성의 오류

대본 슈퍼바이저 Martha Pinson이 가르쳐주는 영화에서의 연속성의 오류(continuity error). 흔히 “옥의 티”라 불리는 것들로, 컷 앞뒤로 소품의 위치나 속성 등이 달라져있는 소품 연속성(prop continuity)에서 시작해서 화면 밖의 사람을 향하는 시선 연속성(eyeline continuity)이나 대사, 행동의 연속성 등등을 다룬다. 이런 것들은 그 오류를 설명하는 요소가 시비를 명확히 가릴 수 있는 논리에 있는데, 180도 법칙(180 degree rule) 같은 […]

Read More 연속성의 오류

세계 경제 무게중심의 이동

2012년 맥킨지의 보고서 “Urban world: Cities and the rise of the consuming class”에 등장한 세계 경제 무게중심의 이동. 중국의 급성장으로 인한 2000년~2010년의 변화가 가장 빠름. 지표면 상에서의 가중치 무게중심을 어떻게 구하나 했는데 각국의 지리적 중심에 GDP 가중치를 둬서 그냥 3차원 상에서 무게중심을 구한 후 그와 가장 가까운 지표면의 지점을 구하는 식으로 산출했다고… 트윗 타래를 정리. […]

Read More 세계 경제 무게중심의 이동

마이너스 월드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에서 버그를 이용해 마이너스 월드로 갈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젤다의 전설 1에서도 이에 대응하는 마이너스 월드가 있다는 것이 최근 유튜브 영상을 통해 알려짐. 젤다의 전설 1에서 등장하는 맵은 8*16개이지만 실제로는 맵의 위치를 나타내는 인포는 1바이트=16*16개라 절반($00-$7F)만을 쓰는 것이고 나머지 절반에 위치하게 되면 스타트 지점으로 돌아가도록 예외처리를 해놓는데 SKELUX가 코드에서 해당 […]

Read More 마이너스 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