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센터 시험에 등장한 크리쳐
얼마 전 일본 대입 시험인 센터 시험 영어 리스닝 1번 문제가 트위터에서 화제가 되었다. 날개 달린 야채 캐릭터를 찾는 이 문제에서 보기에 등장한 괴랄한 생물들 때문에 컬트적인 인기를 끄는 중. 트윗을 정리. (2019/01/21)
Read More 일본 센터 시험에 등장한 크리쳐트윗 셀프 어카이빙 블로그
얼마 전 일본 대입 시험인 센터 시험 영어 리스닝 1번 문제가 트위터에서 화제가 되었다. 날개 달린 야채 캐릭터를 찾는 이 문제에서 보기에 등장한 괴랄한 생물들 때문에 컬트적인 인기를 끄는 중. 트윗을 정리. (2019/01/21)
Read More 일본 센터 시험에 등장한 크리쳐Silvan Schweber의 책 “QED and the Men who made it”에서 리처드 파인만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에 대해 쓴 2페이지짜리 글이 있다고 언급되었다고 한다. 책에는 그 내용이 대략적으로 서술되었다고 하는데, Luis Batalha가 이것을 설명한 블로그 글이 있어 이를 요약하고자 한다. 이 글이 언제 써졌는지는 불명이나, 파인만이 1988년 사망했으므로 FLT가 증명되기 전 시점임은 확실하다. 파인만은 이 문제를 확률론적으로 […]
Read More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파인만의 접근Tom Le French의 90년대 물건으로 표현한 요즘 애플리케이션들. 트윗을 정리. (2018/11/03)
Read More 90년대 물건에 투영된 앱태양계의 행성(+명왕성)을 원에 맞춰 정렬해 그린 Steve Gildea의 작품 “Planetary Suite”. 유화, 2016. 9개로 분할된 작품이며, 사이즈는 6 ‘x 13’3″. 위 작품은 작품 명에 “II”가 붙어져 있는데, 실은 원래 작품은 1992년에 완성되었었다. 뉴 호라이즌스 호가 찍은 명왕성 사진이 공개됨에 따라 명왕성을 다시 그린 듯. 트윗 타래를 정리. (2018/10/07)
Read More 원호로 맞춰진 태양계 행성들공식에서 만든 Original Stitch와 콜라보한 포켓몬 셔츠. 총 151종의 포켓몬이 셔츠 디자인에 반영이 된다고 한다. 현재 20종의 디자인이 공개되어있다. 이 20종에 대해서는 선행 온라인 판매를 개시한다고 한다. 1월 26일 오전 11시부터 1월 28일 오전 11시까지 진행되며, 선행 오더하는 경우 버튼홀 행커치프를 증정한다고. 이후 다른 디자인들도 인스타그램 계정 등을 통해 순차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한다. 그리고… 굳이 […]
Read More 포켓몬 셔츠Emily Riehl이 올린 MAA MathFest에서의 발표 자료. 자연수의 분배법칙이라는 간단한 식을 카테고리 이론적으로 증명하면서 어떻게 카테고리 이론의 개념들이 어떤 필요를 가지고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알려주는, 카테고리 이론에 대한 좋은 개론이 되는 컨텐츠이다. 여기서는 이 발표를 토대로 요약하고자 한다. 목표는 간단하게, 자연수 에 대해 를 보이는 것이다. 이 식으로 바로 뛰어들기 전에, 먼저 자연수란 어떤 역할을 […]
Read More 자연수의 분배법칙으로 보는 카테고리 이론일본의 유명 특촬물 “가면 라이더”의 최신 시리즈 “가면 라이더 빌드”에서는 수식이 많이 등장한다. 주인공은 스스로 천재 물리학자라 칭하며 살고 있는 곳의 칠판에는 항상 수식이 써있고, 심지어 변신할 때에는 수식이 날아가는 연출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른바 “이과생 히어로”의 모습을 부각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드라마 “갈릴레오”처럼 여러 수식이 등장하는데, 특히 매 화마다 화수를 수식을 통해 표현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예컨대 […]
Read More 수학적으로 화수를 표현하는 특촬물버추얼 모델 Imma. 일본어로 ‘지금’을 뜻하는 今(이마)에서 딴 이름으로, 네토라보의 기사에 따르면 모델링 특화 프로덕션 ModelingCafe가 CG를 제작했다고. 트윗 타래를 정리. (2019/01/21)
Read More CG로 만들어진 버추얼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