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방을 위한 카드 선택 문제

A, B가 감옥에 따로따로 갇혀있다. 어느 날 간수가 52장의 카드를 앞면이 위를 향하도록 일렬로 늘어놓고 A를 불러들여 이 카드들 중 원한다면 두 장의 위치를 바꿀 수 있게끔 했다. 그리고 A를 돌려보낸 후 모든 카드들을 각각 뒤집은 뒤, B를 불러들였다. (A와 대화를 못하도록 막아두었다)간수는 이 카드들 중 어느 특정한 카드를 랜덤하게 지정해, B가 만약 이 카드를 […]

Read More 석방을 위한 카드 선택 문제

Chomp 게임과 힐베르트의 정리

두 좌표가 0 이상인 정수인 모든 점들을 생각한다. 남아있는 점들 중 한 점을 잡아, 이 점보다 두 좌표가 크거나 같은 (즉 상대적으로 우상단에 있는) 모든 점들을 없애는 스텝을 되풀이할 때, 어떻게 해도 유한번 안에 모든 점을 없애게 된다. Fibonacci Freak에서 소개된 문제. Chomp란 이름의 게임이 있는데, 유한한 직사각형 모양의 점들에서 위에서 묘사한 시행을 되풀이하여 마지막으로 […]

Read More Chomp 게임과 힐베르트의 정리

어떤 마방진

Chris Patuzzo가 발견한 마방진. Futility Closet에서 소개되었다. 각각의 숫자를 영어로 읽었을 때의 알파벳 개수는 마방진을 이룬다. 여기서 또 각각의 숫자를 영어로 읽었을 때의 알파벳 개수도 마방진을 이룬다. 트윗 타래를 정리. (2017/05/08)

Read More 어떤 마방진

1994년, 미적분이 발명되다

1994년 Mary M Tai의 “그래프 아래 부분 면적을 구하는 수학 모델”[1]이 Diabetes Care 저널에 Tai’s formula/Tai’s model이란 이름으로 실렸다. 그 공식이라는게 곡선 아래 부분을 사다리꼴들의 넓이 합으로 근사시키는 기존의 trapezoidal rule에 불과했던 것… 물론 당시에도 황당하단 반응이 속출했고[2] 그에 대해 Tai는 내 주위 사람들은 몰랐던 방법이라 퍼블리쉬했다며 model의 사전적 정의까지 들먹이며 수비하는 눈물나는 상황이 펼쳐졌었다고 […]

Read More 1994년, 미적분이 발명되다

세계 최초의 버그

에이다 러브레이스가 1843년에 쓴 해석기관을 위한 베르누이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은 세계 최초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알려져 있다. 해석기관은 끝내 완성되지 못했고, 러브레이스 역시 이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없었다. Two-Bit History에서는 러브레이스의 프로그램을 C로 번역하는 과정과 그 결과물을 소개하였다. 그는 번역 후 실행을 시켰더니 계속 잘못된 결과가 나와서 어디가 문제였는지를 살펴보니, 원래 코드의 네 번째 […]

Read More 세계 최초의 버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