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키요에로 그려졌던 미국 독립전쟁

1861년 일본에서 발간된 오사나에토키 반코쿠바나시(童絵解万国噺)는 카나가키 로분(仮名垣魯文)이 글을 쓰고 우타가와 요시토라(歌川芳虎)가 그림을 그린 책으로, 일본풍으로 미국의 건국사를 그렸다. 현재 와세다 대학에서 그 스캔한 이미지를 제공하고 있다. 3번째 그림은 영국(영길리-이기리스)의 관인 아수라로부터 “워싱턴의 아내”를 지키는 그림으로 되어 있는데 그 아내의 이름이 카레루라고 되어 있음. 그러나 실제 조지 워싱턴의 아내 이름은 마사였기에 그냥 “수호받는 사람”으로서 여성의 스테레오타입을 […]

Read More 우키요에로 그려졌던 미국 독립전쟁

머신 러닝과 연속체 가설

최근 Nature에서 머신 러닝 저널 Nature Machine Intelligence를 런칭했다. 이에 대해서 기존 머신 러닝 연구과 업계 종사자들은 기존 오픈 억세스 기반의 학계 분위기와는 맞지 않는 폐쇄적 저널 시스템을 지적하며 이 저널에 투고, 검토 등을 하지 않겠다는 청원서에도 많은 사람들이 몰렸다는 등 부정적인 시선이 많은 듯하다. 이러니 저러니 했지만 일단 1월호가 나왔는데 그 중 한 논문이[1] […]

Read More 머신 러닝과 연속체 가설

아이스크림 먹는 아저씨

아이스크림에 이것저것 음식을 곁들여먹을 뿐인 채널. 감상도 평가도 없다 그냥 다른 음식 얹어서 첫술 먹으며 카메라 바라보는 것으로 끝날 뿐….. 그리고 이 아이스크림 시리즈는 하루 안에 다 올라왔다. 가장 좋아하는건 레몬편인데 NG컷을 자르지 않고 그대로 내보내 처음으로 이 아저씨 웃는 모습을 볼 수 있었던데다 무슨 데킬라 마시는 스타일처럼 손에 아이스크림 올리고 먹음 트윗 타래를 정리. […]

Read More 아이스크림 먹는 아저씨

다음 소수를 찾는 또 다른 방법

로 두고, 에 대해 의 최소의 소인수를 로 정의하면 는 크기 순으로 번째 소수가 된다는 내용. [1] 이는 양의 정수 에 대해 의 최소의 소인수는 의 소인수가 아닌 최소의 소수임을 보임으로써 증명할 수 있다. 인 경우는 자명하므로 라 가정하고 을 나누지 않는 최소의 소수를 라고 하고 의 소인수를 라고 둔다. 그러면 는 를 나누지 못하는 […]

Read More 다음 소수를 찾는 또 다른 방법

체스토!

가끔 일본 매체 등에서 ちぇすと(체스토)라고 외치는 경우를 들을 수 있는데 당연히 chest에서 유래된 말일 것이라 추측했었지만 (그래서 검도에서 머리! 하고 외치듯이 흉부를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든지) goo사전을 찾아보니 카고시마 방언이었다고 함. 방언에서는 それ란 뜻으로 쓰인다는데 ‘그것’이라기보단 주로 기합이나 구호로 쓰이는 용법의 それ인 듯. 예컨대 뭔가를 시작할 때의 구호인 それ行け란 뜻으로 ちぇすといけ라고 쓰기도 한다고. 일반적 의미의 체스토는 […]

Read More 체스토!